* 그림 모음/미술이론 7

서양화 읽는 법

[ 서양화 읽는 법 ] 서양의 그림에서 발견되는 의문점 -서양화에는 왜 나체의 여인들이 많이 등장할까?(그것도 여러 명이…) -이치에 맞지 않는 일(피는 시기가 다른 꽃이 함께 만개한 상태로 그려진 정물화) -있을 수 없는 일(어린양과 함께 있는 아기 예수, 깃발을 들고 있는 어린 아이) -있지 않았던 일(다른 시대에 살던 유명한 예술가와 철학가들이 모여있음) -형식적인 내용들(중세의 성화, 수태고지 등) 의문점-1. 어째서 여자들이 셋이서 모두 옷을 벗고 서있나? 2. 그 각각의 여인은 누구이며, 아이는 세 여인 중 누구의 아이인가? 3. 파리스와 솔로몬은 같은 사람인가? 4. 금사과를 여인들 중 누구에게 줄 것인지? 혹은 받은 것인지? 5. 하늘의 횃불을 들고있는 여인은? 왜 있지도 않은 장면을 그렸..

회화

회 화 1.회화의 표현요소 ① 점, 선, 면 ② 형 - 자연형, 반추상형, 추상형 ③ 색 - 고유의 색, 인상의 색, 창조의 색 ④ 명암 - 대상의 실제감, 입체감, 양감을 표현하는 요소 (반사광선의 위치) ⑤ 양감 - 무게, 중량감의 느낌 ⑥ 질감(마티에르) - 거칠거나 매끄러운 느낌 ⑦ 입체감- 덩어리, 부피 ⑧ 동세 - 운동감 ⑨ 공간감 - 화면의 깊이, 거리감 ⑩ 톤(Tone) - 명암이나 색의 조화(색조) ⑪ 원근감 - 투시도법(소실점), 색채(공기)원근법 2. 회화의 분류 ① 사생화 : 직접 보고 그린 그림 ② 구상화 : 생각해서 그린 그림(상상화, 이야기 그림) ③ 추상화 : 순수 조형 요소(점, 선, 색 등)로 그린 그림 ꠆ꠏ 뜨거운 추상(서정적 추상) : 폴록, 클레 ꠌꠏ 차가운 추상(기..

극사실주의

극사실주의 [hyperrealism] 현실을 극단적으로 생생하고 완벽하게 재현하는 미술의 한 경향. 래디컬리얼리즘(radicalrealism). 슈퍼리얼리즘(superrealism), 포토리얼리즘(photoreaslim)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1960년대 후반 유럽과 미국에서 시도되었는데, 본래는 1962년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끼쳤던 전위미술인 팝 아트(pop art)의 영향 아래 발생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몸적물인 대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주관을 일절 배재하여 마치 사진을 보듯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 역시 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없는 인물이나 장소를 다룬다. 극사실주의는 이미지화하려는 작가의 의식조차를 억제하려는 점에서 팝 아트와 구별된다. 실제로 사..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Bauhaus] 독일 바이마르에 있던 조형학교.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미술학교와 공예학교를 병합하여 설립하였다. '바우하우스(Bauhaus)'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킨 것이다. 주된 이념은 건축을 주축으로 삼고 예술과 기술을 종합하려는 것이었다. 바이마르에서 출발한 바우하우스에서는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 라이오넬 파이닝거(Lyonel Feininger), 폴 클레(Paul Klee), 오스카 슐레머(Oskar Schlemmer),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등이 교육을 담당하였다. 초기에는 공예학교 성격을 띠다가 1923년에 이르러서야 예술과 기술의 ..

일본 회화사

일본문화는 동양의 문화이면서도 매우 특색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체로 일본문화는 외면적인 화려함보다는 내면적인 우아함과 아름다움을 희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雅び(미야비: 그윽한 아취)」라든가, 「物の哀れ(모노노 아와레: 심오한 정취)」라든가, 「わび(와비: 고요한 정서)」, 「さび(사비: 옛스러운 운치)」따위 말로 표현되는 조화적 정취의 세계를 탐구하려는 일본인의 독자적인 미의식이 외래문명을 받아들여 소화해 가면서 전통문화로 융화시켜 특색이 있는 것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일본문화는 일본민족의 미의식과 더불어 異質 문화에 대해 유연했던 국민성이 외래문화에다 정신적인 뒷받침을 해 가면서 국풍화(國風化)해 왔다고 불 수 있겠다. 물론, 문화란 여러 가지 부문, 예컨대 학문, 종교, 예술을 ..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사회적 배경 ○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한 폐해: 자연파괴, 대량학살(2차 세계대전 1억1500만명사상)의 비극적 상황. ○ 인간이성 중심사상에 대한 회의: 계몽주의, 합리주의에 대한에 대한 회의와 불신, ○ 대중매체의 발달과 보급: 지시대상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와 약호화 하여 전달하고 그 기호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해 의미가 제공되는 상대주의적 경향. ○ 다원주의적 세계관: 서구문명 중심, 미래중심, 남성중심, 중앙중심에서 벗어나 소수 문화권 중심, 과거나 현재중심, 여성중심, 주변으로의 관심이 고조됨. 포스트모더니즘미술의 특징 ○ 모더니즘에서 엄격하게 구별하던 장르의 구분을 철폐함 ○ 모든 가능한 매체를 사용: 기존에 사용되던 화구(畵具)외에 모든..